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90건)

竹塢權公墓誌銘 幷序 -노백헌집(老柏軒集) 권41
竹塢權公墓誌銘 幷序 - 권정희(權應五)이다.권준(權濬, 1578~1642), 광주목사로 의령 안동권씨 명석적의 입향조이다. 권정희는 그의 후손이다.노백헌집(老柏軒集) 권41영오(英五), 후윤(厚允)이고, 호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 김석귀(金錫龜), 정의림(鄭義林), 기우만(奇宇萬), 허유(許愈), 곽종석(郭鍾錫) 등과
處士權公墓碣銘- 월고집(月皐集) 권15 / 墓碣銘
處士權公墓碣銘- 權思璨월고집(月皐集) 권15 / 墓碣銘직교(直敎), 호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 정태원(鄭泰元), 이최선(李最善), 김녹휴(金祿休), 최익현(崔益鉉), 기우만(奇宇萬) 등과 교유했다.處士權公諱思璨。歿已八十餘禩。其玄孫載斗請碣銘于趙性家曰。府君望實俱隆。足以不朽。而狀誌俱闕。惟挽祭一卷存焉
장복동, “호남유학정신은 공공성과 지식인의 책임 강조해”
“호남유학은 절의와 의리, 실천정신이 강할 뿐만 아니라 실학적 기풍을 강조합니다. 그래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갈등구조로 치닫는 현대사회와 여야의 정쟁구도 일삼는 정치적 상황에서도 많은 걸 시사하고 있습니다.”26일 장복동 전남대 지역인문학 센터장은 광주 서구문화원에서 ‘광주의 유학자들’이란 주제로 가진 2022년
정재학(鄭在鶴, 1823~?)
정사국(鄭士國) : 정재학(鄭在鶴, 1823~?)으로,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사국, 호는 팔광(八狂)이다. 전라도 광주에서 살았고 정수충(鄭守忠)의 후손이다. 기정진의 문인이다.노사집 제8권 / 서(書) 에 정사국에게 답하다答鄭士國 在鶴〕라는 편지가 있다.       먼 객지
강남간사록〔江南幹事錄〕 - 미산집
강남간사록〔江南幹事錄〕 직무 수행 기록 - 미산집 제8권 / 기(記) : 한장석(韓章錫, 1832~1894)갑술년(1874) 2월에 나라에 원자(元子) 탄생의 경사가 있어 증광시를 시행하였으므로 내가 왕명을 받고 호남좌도에 가게 되었다. 3월 상순 임자일에 대궐에 이르러 하직인사를 올리고 계판(啓板) 앞에서 별도로 분부를
박순문 (제방) 에게 답하다〔答朴舜聞, 濟邦〕 - 노사집 제4권
박순문 (제방) 에게 답하다〔答朴舜聞, 濟邦〕 - 노사집 제4권 : 봄여름 사이에 병으로 고생한다는 것을 알았으나 한 번도 차도를 묻지 못하였네. 그 뒤에 오곡(午谷)에 사는 당질을 통해 이미 쾌유되었다는 소식은 들었지만, 본래 연약한 몸이어서 반드시 여증의 괴로움이 많을 것이니, 걱정스러움을 어찌 다 말할 수 있겠
박주빈 (제문) 에게 답하다〔答朴周彬, 濟文〕 - 노사집 제4권
박주빈 (제문) 에게 답하다〔答朴周彬, 濟文〕 - 노사집 제4권요사이 어떤 사람이 귀촌(貴村)의 근처에 전염병이 극성이라고 전해주던데, 사람을 보내 안부를 묻지는 못했지만 염려가 컸었네. 이럴 즈음에 편지를 받고 대소가의 건강이 두루 평안하고 마을의 집들도 깨끗하다고 하니, 이는 변란의 해에 기쁜 소식이네. 가려
고씨 출신 중범이 의거에 나아감을 보내며〔送高出身仲範赴義〕 - 노사집 제2권
고씨 출신 중범이 의거에 나아감을 보내며〔送高出身仲範赴義〕 - 노사집 제2권 :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신경을 어찌 봉천과 같은 때라 할까마는 / 神京豈曰奉天時근기에서 어쩌다 출새시 듣게 되었나 / 近甸那聞出塞詩칼 짚고 그대 감에 늙은 간담 격동시키니 / 杖劒君行激老膽제봉에게 후손 있음을 믿을
난중잡록 (亂中雜錄) - 임진년 상 만력 20년, 선조 25년(1592년)
난중잡록 1(亂中雜錄一) - 임진년 상 만력 20년, 선조 25년(1592년) : 산서(山西) 조경남(趙慶男, 1570~1641)이 저술한 야사(野史) 해제이 책은 지금부터 약 4백 년 전 전라도 남원에서 유학자이며 무용(武勇)을 겸비한 의병장(義兵將)으로 이름이 높은 산서(山西) 조경남(趙慶男) 선생이 저술한 야사(野史)이다.저자 조경남
후석유고- 오준선
후석 오준선의 <후석유고>『후석유고』는 한말의 유학자인 오준선의 목활자본 시문집으로, 25권 12책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권1, 2는 오준선의 詩와 賦 451수가 수록되어 있다. 사우들과의 차운시 및 輓詩를 비롯해서 述懷 및 景物詩 등 다양한 내용의 시를 시기별로 편집하였다. 스승인 奇正鎭을 비롯해서 宋近洙,
안촌집(安村集) 안촌세고 安村世稿
안촌집(安村集)은 박광후(朴光後1637~1678)의 문집으로 1908년에 嗣孫 朴元圭가 간행한 4권2책의 활자본이다. 박광후는 학문에 몰두하느라 책을 지어 후세에 전할 겨를이 없었으므로 유고가 많지 않았다고 한다. 1861년에 이르러 기정진이 저자의 유고를 「안촌집安村集」으로, 저자의 아들 박중회朴重繪의 유고를 「소은집
박광후 朴光後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1637(인조 15)∼1678년숙종 4)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술(士述), 호는 안촌(安村)이다.조부는 진사(進士) 칠졸재(七拙齋) 박창우(朴昌禹)이고, 부친은 충의위(忠義衛) 박천용(朴天用)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모친은 남씨(南氏)이고 부인은 홍씨(洪氏)이다. 광산
죽암집 竹巖集 (죽암유고) 죽암선생문집
<죽암선생문집竹巖先生文集>은 죽암竹巖 이응구李應龜(1703∼1781)가 지었다. 이응구는 광주 황계리黃溪里 지금의 운암동에서 태어났다. 자는 주서(周瑞)이고, 본관은 광산(光山)이다.서문은 노사 기정진이 썼고 그의 집안 내력을 잘 아는 미호 김원행의 제자로 성리학을 공부하였고 당송唐宋의 글에 뛰어났던 진사 임
삼우당유고 三友堂遺稿
광산 출신의 삼우당 이제백의 <삼우당유고三友堂遺稿>가 있다. 노사 기정진 선생이 삼우당유고 서문을 써주었다. 蘆沙先生文集 卷28에 실린 서문은 다음과 같다. 情竅旣開。冰炭相攻。百年之內。好襟懷鮮一日有焉。幸而有之。則自外來而有不可必者三焉。曰時也地也人也。三者一有不遇。則襟懷蓄而不洩。終焉汩沒而已矣
선원재 仙源齋
노사 기정진의 <노사집蘆沙集> 권1에 유생 정공의 선원재를 노래한 시가 있다.광산 정생의 선원재 운〔光山鄭生仙源齋韻〕 洞天應自太康開  동천은 마땅히 태강 때부터 열렸으리니依舊潛行一路隈  예전부터 난 구비진 길을 몰래 걸어보네 祇信巖花明勝錦  다만 바위에 핀 꽃 비단보다 멋진
난와유고難窩遺稿
<난와유고難窩遺稿> 난와 오계수(1843∼1915)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된 시문집이다.유학자이며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이며 항일지사인 오계수는 본관은 나주. 자는 중함重涵, 호는 난와難窩. 아버지는 갑선甲善이며, 어머니는 나주 정시혁鄭時爀의 딸이다. 17권 8책. 목활자본. 1916년 오준선(吳駿善)·
류인석(柳寅奭)
유인석(柳寅奭)의 자는 춘백(春伯), 호는 수당(睡堂)으로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아버지는 유하영(柳河永, 號 農山), 어머니는 파주(坡州) 염씨(廉氏) 재묵(在黙)의 딸이다. 1859년(철종 10) 5월 9일 태어나 광산구 삼도면에서 살다가 1931년 2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은 문화 류씨(文化 柳氏
기동찬(奇東燦)
기동찬(奇東燦, 1823~1853)의 본관은 행주, 자는 경문(敬文) , 호는 매천(梅泉)이다.부 : 奇恒錫조 : 奇師忠증조 : 奇商胤외조 : 高時奎처부1 : 宋文信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이희용(李熙容)
이희용(李熙容, 1853~1931)의 본관은 전의이며 자는 국서(國瑞), 호는 쌍석(雙石) 이다. 광주 하남면 장자동에 살았다.부 : 李淙植조 : 李達鉉증조 : 李志嶷외조 : 奇師賢처부1 : 高濟喆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1889년에 眉巖 柳希春을 기리는 모임에 참여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이용헌(李龍憲)
이용헌(李龍憲, 1851~1895)의 본관은 함평이고 자는 운오(雲五), 호는 오산(梧山) 이다. 광주 오치리에 살았다. 승지에 증직되었다.부 : 李敏炯조 : 李萬燁외조 : 高時洪처부1 : 閔三顯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오산정梧山亭을 경영했다.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